반응형
매경, 부동산전문가 50인 설문
"수도권 전역 확산" 대세
서울 이번주 0.27% 급등
25개구 전부 상승폭 키워
대출규제 이전 수준으로

 

◆ 부동산 불장 ◆

내년 상반기 서울 아파트 매매가 전망
내년 상반기 서울 아파트 매매가 전망

서울 아파트값 상승 분위기가 6·27 대출 규제 직전 상태로 돌아갔다. 정부의 '9·7 주택 공급 대책' 발표에도 오름세가 커지는 모습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부동산 전문가 10명 중 8~9명은 집값 상승세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지며 서울 전역·수도권으로 퍼질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9월 29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일주일 전보다 0.27% 올랐다. 6·27 대출 규제 직후 상승폭(0.29%)에 근접한 셈이다. 수도권 역시 0.12% 상승했다. 상승세는 서울 지역 전체로 퍼지는 모양새다. 서울 내에서는 성동구(0.78%)가 가장 많이 오른 가운데 25개 자치구가 모두 상승폭을 키웠다. 경기도에서는 성남 분당(0.97%)의 급등세가 두드러졌다.

 

매일경제가 건설·시행·학계·금융 등 각 분야 부동산 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추석 이후 부동산 시장 전망'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무려 90%(45명)가 내년 상반기까지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서울 제외) 집값이 상승한다고 본 비율도 76%(38명)에 달했다. 상승 분위기가 과천·판교·분당 등 '수도권 핵심지'까지 퍼질 것이라는 답변이 44%(22명)로 가장 많았다. 수도권 외곽(수원·용인·평택)까지 아파트값이 상승한다고 내다본 전문가도 12명(24%)이나 됐다. 내년 상반기가 되면 전월세 가격까지 불안할 위험이 높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이에 따라 내 집 마련을 고민하고 있다면 '추석 직후'에 바로 움직여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36명(72%)이 이 같은 답변을 했다. 내년 상반기(8명)까지 합치면 거의 10명 중 9명이 발 빠른 대응을 추천한 셈이다.

 

정부가 취임 100일도 되기 전에 부동산 종합 대책을 번이나 내놨지만 시장 변동성은 확대되는 양상이다. 주택 공급에 방점을 찍은 9·7 대책은 효과가 없다는 의견이 37(74%)이나 됐다. '시장 안정에 효과가 있을 '이라고 평가한 전문가는 명도 없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공공 주도 공급' 대한 환상을 버리고 시장 원리에 입각한 정책을 펴야 한다" 조언했다. 실제로 '정부가 지금부터라도 실시해야 정책' 묻는 질문에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폐지(27), 지방 다주택자 세제 완화(26) 등이 압도적 응답을 얻었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수요 밀집지역의 입주 물량 확대가 난망해 9·7 공급 대책은 효과가 거의 없을 "이라며 "집값 상승을 제어할 있는 요인이 없다는 인식이 퍼지면 집값 상승 속도는 빨라질 "이라고 내다봤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