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6 THE 세계 대학평가
연대·성대 순위 대폭 오르며
서울대·KAIST와 함께 포함
고대는 33계단 뛰어올라 눈길
아시아 톱10 배출에는 실패

서울대학교 전경.

 

한국 대학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존재감을 넓혀가고 있다.

 

영국 대학평가기관 타임스 고등교육(THE)이 9일(현지시간) 발표한 ‘2026 세계대학평가’에서 국내 대학 4곳이 글로벌 100위 안에 진입했다. 지난해 공동 102위였던 연세대와 성균관대의 순위가 오르면서 서울대·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함께 글로벌 100위 안에 처음 이름을 올린 것이다. 한국 대학 4곳이 100위안에 포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려대는 국내 대학 중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하며 189위에서 156위로 순위를 끌어올렸으며, 포항공과대학교(POSTECH)·아주대·이화여대·가천대·영남대의 순위도 전년보다 상승했다.

 

THE는 매년 교육여건, 연구환경, 연구품질, 국제화, 산학협력 등 5개 지표를 평가해 가중 평균한 점수로 전 세계 대학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올해는 115개 국가 및 지역에서 역대 최대인 2191개 대학을 평가했다.

 

이번 평가에서 58위를 기록한 서울대는 종합 점수 74.1점을 기록하며 작년(62위)에 이어 10년 연속 국내 최고 대학 자리를 수성했다. KAIST는 71.3점으로 전년(82위)보다 12계단 뛰어오른 70위를 차지했다. KAIST는 최근 5년간 99위에서 70위로 지속해서 순위가 상승 중이다.

 

이번 평가에서 몸값이 크게 오른 국내 대학은 연세대와 성균관대, 그리고 고려대다.

 

연세대(서울)는 종합 점수 68.5점으로, 작년 공동 102위에서 86위로 순위가 대폭 상승했다. 연세대는 국제화를 제외한 나머지 지표 모두 국내 대학 상위 4위안에 들었으며, 연구와 피인용도 평가 영역에서 점수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는 연구의 질적 수월성 향상을 위한 전략적 투자를 지속 중이다. 특히 인류의 난제 해결을 목표로 한 ‘초학제 융복합 연구’를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세계적 연구기관과 공동연구 확대를 위한 플랫폼인 ‘연세프론티어랩(Yonsei Frontier Lab)’을 운영하고 있다.

 

연세대 관계자는 “연구의 질적 수준 제고에 집중한 전략이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로 이어졌다”며 “앞으로도 인류가 직면한 문제 해결을 위한 융복합 연구와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연구력 향상은 물론, 대학의 연구가 사회에 실질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도록 기반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연세대와 공동 102위였던 성균관대도 68.3점을 받아 87위에 올랐다. 성균관대는 모든 지표에서 고른 평가를 받았으며 산업 협력 부문에서는 공동 64위에 오르며 기업과의 연계와 실용적 연구 역량을 인정받았다.

 

최근 몇 년간 순위를 빠르게 끌어올린 고려대는 올해도 의미있는 성적표를 받았다. 종합 점수 61.4점으로 전년보다 33계단 뛰어오른 공동 156위를 차지했다. 2024년 201~250위였던 점을 고려하면 불과 2년만에 최소 45계단 뛰어오른 것이다.

 

고려대는 지난 5월 개교 120주년을 맞아 ‘비전 2040’을 발표했다. ‘Next Intelligence-세계를 바꾸는 글로벌 연구 중심 대학’이라는 비전하에 글로벌 연구 리더십을 확보하고 혁신적 교육 구현을 위한 투자에 나섰다.

 

아울러 연구 경쟁력 세계 20위권 진입을 위해 인공지능(AI), 바이오테크(Bio-Tech), 차세대 반도체·배터리, 양자컴퓨팅 등 글로벌 수요가 높은 분야에 기금교수제 등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 기금교수제는 기업의 후원금을 받아 이론적 지식에 실무적 감각을 갖춘 현장형 우수 교원을 채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산학협력이다.

 

포항공대 역시 전년(151위)보다 10계단 오른 공동 141위를 차지했다. 이처럼 상위 200위권에 든 한국 대학은 작년보다 순위가 일제히 상승했으며 중상위권 대학교들 역시 힘을 냈다. 아주대는 500위 안으로 진입했고, 영남대와 가천대는 60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아주대 관계자는 “올해만 해도 사이언스지에 두 편의 논문을 게재하고 구글과 AI 공동 연구 및 교육 협력 체결을 했다”며 “앞으로도 AI를 축으로 바이오, 반도체, 미래 모빌리티 등에 지속적 관심을 가지고 지원할 계획”이라 밝혔다.

 

한국은 39개 대학이 1500위권 안에 들었지만 ‘아시아 TOP10 대학’에는 여전히 명함조차 내밀지 못하면서 아쉬움을 남겼다. 중국이 5개로 가장 많은 ‘아시아 TOP10 대학’을 배출했고 싱가포르(2개), 홍콩(2개), 일본(1개) 순이었다.

 

베티 THE 글로벌 업무 총괄 책임자는전반적으로 한국 대학의 평균 점수는 연구품질 지표 4 부문과 교육 평판이 개선되면서 1.04 상승했다면서올해 순위는 연구와 고등교육 우수성 권력 균형이 서구의 오랜 전통을 가진 주류 기관들에서 동양의 떠오르는 신성들로 급격히 이동하고 있고 가속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밝혔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