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위협 노출···윈도우 11로 전환해야
"보안 설정 일정 기간 유지 가능"

 

마이크로소프트(MS)가 14일 ‘윈도우 10’의 공식 지원을 종료했다. 이로써 이용자들은 최신 운영체제인 윈도우 11로 전환해야 한다. 

 

마이크로소프트에 따르면 지원 종료 후에는 윈도우 10에 대한 정기 보안 업데이트와 기술 지원이 되지 않는다. 보안 업데이트가 중단되면 시스템이 악성 소프트웨어나 바이러스 등 위협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진다. 아울러 기능 업데이트가 중단되면서 일부 애플리케이션이나 기능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윈도우 10 PC에서 실행되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앱은 2028년 10월 10일까지 보안 업데이트를, 2026년 8월까지 기능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에 따르면 윈도우 11은 TPM 2.0, 가상화 기반 보안, 스마트 앱 컨트롤 등 고급 보안 기능이 탑재됐다. 또한 윈도우 11 기반 PC는 윈도우 10 기반 PC 보다 최대 2.3배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도 스냅 레이아웃, 멀티 데스크톱 등 향상된 멀티태스킹 기능과 현대적인 사용자환경(UI)을 제공한다.

 

윈도우 기반 코파일럿+ PC는 '리콜', '클릭 투 두' 등 인공지능(AI) 기반 독점 기능으로 업무 효율성과 창의성 향상을 동시에 지원한다. 기업 고객의 경우 기기 교체 없이 윈도우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도 최근 로드맵에서 안내됐다.

 

다만 마이크로소프트는 이용자가 윈도우 11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윈도우 10 공식 지원 종료 후에도 기존 PC의 보안 설정을 일정 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사용자가 윈도우 10 확장 보안 업데이트 프로그램(ESU)에 등록하면 최대 1년간 매월 긴급·중요 업데이트를 지원받을 수 있다.

 

유수프 메흐디 마이크로소프트 최고마케팅책임자(CMO) 앞서 "2025년은 윈도우 11 PC로의 전환기가 "이라며 "마이크로소프트는 코파일럿+ PC 클라우드 기반 윈도우 365 통해 보안을 최우선으로 하는 최상의 윈도우 11 경험을 제공하겠다" 말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