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내 반도체 대표주 SK하이닉스가 3분기 호실적과 엔비디아와의 협력 강화에 힘입어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한국거래소가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 예고를 내렸다. 동시에 회사가 내년부터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라인업을 순차적으로 출시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며 반도체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SK하이닉스에 대해 “최근 주가가 1년 전보다 200% 이상 상승했고, 특정 계좌의 매수 관여율이 일정 기준을 초과했다”며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거래소는 “이 같은 상황이 지속돼 17일까지 SK하이닉스가 최근 15일 중 최고 종가를 기록할 경우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투자주의 → 투자경고 → 투자위험 단계로 이어지는 시장경보 종목 지정 절차상, 주가 급등이 계속될 경우 매매거래가 정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SK하이닉스 외에 효성과 LS일렉트릭도 이날 함께 투자주의종목으로 지정됐다.

 

이날 SK하이닉스 주가는 10.9% 급등한 62만 원대에 거래를 마감했다. 시가총액은 451조 원을 넘어서며 코스피 비중의 13%를 차지했다. 올해 들어 주가 상승률만 257%에 달한다. 지난달 엔비디아 젠슨 황 CEO의 방한 이후 협력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3분기 호실적이 발표되면서 투자 심리가 한층 고조된 영향이다.

 

이 같은 시장 열기에 불을 지핀 것은 SK하이닉스의 차세대 메모리 로드맵 공개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는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내년부터 HBM4와 HBM4E(8·12·16단), 커스텀 HBM4를 순차적으로 선보이고 2029~2031년에는 HBM5와 HBM5E를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내년부터 차세대 모바일 D램 ‘LPDDR6’을 출시하고, 2030년대 초에는 ‘LPDDR7’을 공개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고용량·고성능·고대역폭을 각각 강조한 AI-N D·AI-N P·AI-N B 등 3종의 AI-N 시리즈도 함께 공개했다.

 

곽 사장은 “엔비디아, TSMC, 오픈AI, 네이버클라우드 등과의 협업을 강화해 AI 반도체 시대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증권가에선차세대 HBM 기술 경쟁력과 글로벌 AI 시장 확대가 맞물리며 SK하이닉스가 메모리 업황 반등을 주도하고 있다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 가능성에도 중장기 성장성은 유효하다 분석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