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달러 환율이 5일 장중 한때 1450원까지 치솟았다. 7개월 만에 최고치다. 외국인이 국내 주식을 대규모로 매도하며 원화가 약세 압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449.4원에 주간 거래를 마쳤다. 주간 거래 종가는 지난 4월 11일(1449.9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위치에서 마감했다.

 

환율은 전장 대비 5.6원 오른 1443.5원으로 거래를 시작했다. 이후 우상향하더니 오후 3시28분께 1450원을 찍었다. 장중 1450원에 오른 것은 지난 4월 11일(장중 고가 1457.2원) 이후 처음이다.

 

외국인이 국내 주식을 대거 팔아치워 환율이 상승 압력을 받았다. 이날 유가증권시장(한국거래소 기준)에서 외국인은 현물을 2조5182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5974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미국 증시에서 인공지능(AI) 거품 논란에 불이 붙으며 관련 종목이 급락하자 국내 증시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빅쇼트'의 모델 마이클 버리는 영화 마이클 버리는 엔비디아와 팔란티어에 쇼트(매도) 포지션을 구축했다고 언급하면서 과열 우려를 키웠다.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줄어든 점도 달러 강세에 힘을 보탰다.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은 지난 29일 "12월 추가 금리 인하는 전혀 확정된 것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실제로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는 투표권을 가진 위원 12명 가운데 2명이 동결을 주장했다. 달러인덱스도 최근 100을 돌파했다. 달러인덱스는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낸다.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중지)으로 경제지표 발표가 중단된 만큼 12월 금리 인하에 대한 신중론이 확산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이를 강달러 추세 전조로 보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원·달러 환율의 경우 당국 개입을 경계해야 하는 수준이다. 현 수준에서 추가 상승 여지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