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부가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등 고강도 수요 억제책을 내놓았지만 국민 2명 중 1명은 내년 상반기 집값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부동산R 114가 발표한 ‘2026년 상반기 주택 시장 전망 설문조사’에 따르면 내년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은 52%에 달했다. 2021년 하반기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하락을 전망한 응답은 14%에 불과했다.

 

주택 가격 상승 이유로는 ‘핵심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35.37%)이 가장 많았다. 이어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12.63%), ‘서울 등 주요 도심 공급 부족 심화’(10.9%), ‘정부 주요 규제에 따른 매물 잠김’(8.91%),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8.78%), ‘대출규제에 따른 풍선효과 영향’(6.52%)이 뒤를 이었다.반대로 집값 하락 전망 이유로는 대출규제로 매수세가 약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38.16%로 가장 많았다. ‘경기 침체 가능성’(15.94%)과 ‘대출 금리 부담 영향’(10.63%)도 하락 요인으로 꼽혔다.

 

임대차 시장도 불안이 커졌다. 전세가격 상승 전망은 57.75%, 월세 상승 전망은 61%로 하락 전망(5%)을 크게 웃돌았다.

 

전세가격 상승 이유는 매수 심리 위축에 따른 전세 수요 증가(35%)와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 공급 감소(24%)가 주로 꼽혔다.내년 상반기 부동산 시장의 핵심 변수로는 ‘대출, 세금 등 부동산 규제 환경 변화 여부(17.01%)’,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여건’(16.8%),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및 인하 여부’(14.75%), ‘현 정부 대규모 주택공급(택지개발) 정책’(12.28%)등이 지목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10 22일부터 이달 2일까지 12 동안 전국 145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57%포인트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