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진·송치형 27일 공식 발표

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와 간편결제 선두 기업 네이버파이낸셜이 합병에 나선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은 오는 26일 각각 이사회를 열어 합병안을 의결한다. 다음 날인 27일 네이버 제2사옥 ‘네이버 1784’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합병 배경과 통합 이후 사업 청사진을 발표할 예정이다.
기자회견에는 송치형 두나무 회장과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의장이 직접 참석한다. 김형년 두나무 부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오경석 두나무 대표,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등 양사 주요 경영진도 자리한다. 단순한 지분 결합을 넘어 두나무의 블록체인·핀테크 역량과 네이버의 플랫폼 경쟁력을 결합한 새로운 금융 생태계 로드맵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합병은 포괄적 주식 교환 방식으로 진행할 전망이다. 두나무 모든 주주는 보유 지분을 네이버파이낸셜 지분으로 교환해 네이버파이낸셜의 주주가 되고 두나무는 100% 자회사가 된다. 네이버(모회사)–네이버파이낸셜(자회사)–두나무(손자회사)로 이어지는 구조다.
관심은 합병 비율에 쏠린다. 시장에선 두나무 기업가치를 약 15조원, 네이버파이낸셜을 약 5조원 수준으로 추산하고 있다. 두나무 1주 대 네이버파이낸셜 3주 비율의 교환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 이 비율이 확정되면 송치형 회장과 김형년 부회장이 통합 법인 지분의 약 30%를 확보해 최대주주로 올라선다. 반면 네이버는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로서 기존 69%에서 약 17%로 지분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두나무가 공정거래법상 네이버 계열사 편입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두나무 측이 의결권의 절반 이상을 네이버에 위임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거론된다.정부 심사라는 관문도 남아 있다. 이사회에서 안건이 통과되더라도 금융당국과 공정거래위원회의 승인 없이는 합병이 확정되지 않는다. 금융감독원은 간편결제와 가상자산 서비스의 결합이 금융 리스크를 확대하지 않는지 면밀히 들여다볼 예정이다. 공정위는 시장 지배력 강화 여부 등 독점성 심사에 들어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