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 89% “실손보험금 청구 기존보다 편리”
실손보험금 청구 전산화가 10월 25일부터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 9만6000곳에서 확대 시행한다.
금융당국은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시스템인 ‘실손 24’ 참여 및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고 7일 밝혔다.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는 지난해 10월 25일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1단계)를 대상으로 우선 시행했다. 올해 10월 25일부터는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2단계)까지 대상이 확대한다.
지난 5일 기준 총 6757개 요양기관(병원 1045개·보건소 3564개·의원 861개·약국 1287개)이 참여하고 있으며 1단계 참여율은 59.1%정도다. 2단계 시행 대상인 의원·약국 중에도 선제적인 참여를 독려 중인데 아직 참여율은 2.2%에 불과하다.
보험업계와 유관기관 등은 청구 전산화 참여 요양기관 및 전자의무기록처리(EMR) 업체에 서버비와 시스템 개발비, 인센티브 성격의 확산비, 유지보수비 등을 지원한다.
금융당국은 실손24 활성화를 위해 참여 병원을 소비자가 손쉽게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 플랫폼(네이버지도, 카카오맵)에서 참여 병원을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연계한다.
아울러 실손24 미참여 요양기관에 대해 소비자가 참여를 요청하는 기능을 신설하는 등 시스템 기능을 개선해왔다. 소비자단체 ‘소비자와함께’가 지난 4월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구전산화를 이용하는 소비자는 물론 참여하는 병원도 실손24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89%가 청구전산화가 기존 보험금 청구방식(보험사 앱, 팩스 등)보다 더 편리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94%는 향후에도 실손24를 계속 이용할 것이며 87%는 요양기관들의 진료과목 등이 유사하다면 청구전산화가 가능한 병원을 우선 이용하겠다고 답했다.
청구전산화가 좋은 이유로는 응답자의 86%가 종이 서류(진료비계산서 등) 발급 없이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고 답했고, 50%는 서류 발급을 위한 병원 재방문 등 시간적 비용이 감소하는 점을 꼽았다.
청구전산화에 참여한 병원도 67%가 청구서류 발급 행정부담이 줄었고 79%는 내원 환자 서비스 만족도 증대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