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 '소기름'으로 튀긴 라면 출시 준비
별첨 우골 액상 스프로 국물도 보강해
삼양라면 브랜드 첫 '프리미엄급 라면'
삼양식품이 '우지 라면(소기름으로 튀긴 라면)'을 다시 선보인다. 국내에 우지 라면이 다시 등장하는 건 1989년 우지 파동으로 명맥이 끊긴 이후 36년 만이다.
36년 만에 부활
21일 업계 등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신제품 '삼양라면1963'을 오는 11월 출시할 계획이다. 삼양라면1963의 가장 큰 특징은 '우지(牛脂)'로 면을 튀겼다는 점이다. 우지로 튀긴 라면은 풍미가 좋고 고소한 맛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1963년은 삼양라면이 출시된 해다. 삼양라면을 처음 만들었을 때처럼 우지로 면을 튀긴 제품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그렇다고 60년 전 라면을 그대로 가져온 건 아니다. 요즘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춰 업그레이드를 거쳤다. 삼양식품의 국물라면 중 처음으로 우골(소뼈)로 만든 '별첨 액상 스프'를 넣는다. 국물의 진한 맛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농심의 프리미엄 라면 신라면 블랙과 같은 방식이다.
가격대 역시 높아진다. 우지가 팜유보다 훨씬 비싸기 때문이다. 개당 700원 꼴인 기존 삼양라면보다 높은 '프리미엄 라면'급 가격이 책정될 전망이다. 개당 1500원 안팎인 신라면 블랙과 비슷한 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삼양식품이 삼양라면 브랜드로 개당 1000원이 넘는 프리미엄 라인업을 내놓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삼양식품이 '우지 라면'을 다시 출시하기로 한 건 우지 라면이 팜유로 튀긴 라면보다 맛에서 낫다는 판단에서다. 맛이나 향 등에서 큰 특징이 없는 팜유보다 특유의 풍미가 있고 맛이 진한 우지가 '프리미엄 라면'에 걸맞는 맛을 낼 수 있다는 계산이다.
우지 라면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이 개선된 것도 이유다. 우지 파동 이슈가 잠잠해지고 뒷이야기들이 알려진 이후 삼양식품이 피해자였다는 인식이 퍼졌다. 80년대의 '우지 라면'을 맛봤던 소비자들이 우지 라면을 재출시해달라고 요청하는 일도 빈번하게 이뤄졌다. 불닭볶음면을 통해 글로벌 라면 기업으로 거듭난 삼양식품이 '우지 라면' 카드를 꺼내든 이유다.
진짜 억울해
실제로 '우지 파동'은 국내 식품업계 사상 최악의 '헛발질' 중 하나로 꼽힌다. 당시 공업용 우지로 면을 튀겼다는 익명의 투서가 검찰청에 접수되면서 검찰은 주요 라면 업체 관계자들을 잡아들였다. 특히 '공업용 우지'라는 표현은 소비자들에게 충격을 줬다. 공장에서 쓰는 기름을 썼다는 이미지가 연상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후 조사에 나선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에서는 해당 기름에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 이후 재가공, 정제 과정을 거쳐 튀김 기름으로 써도 문제가 없는 원료를 '공업용 우지'라는 표현으로 곡해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결국 1995년 고등법원에서 무죄 판결이 났고 1997년 대법원이 확정 판결을 내리며 '우지 파동'은 종결됐다.
하지만 '우지 라면'을 만드는 기업이라는 낙인이 생긴 삼양식품은 그 후로 오랫동안 부진에 빠졌다. 80년대 초 농심에 라면 1위 자리를 내준 데 이어 오뚜기에 2위 자리까지 빼앗겼다. 삼양식품이 2위 자리를 되찾은 건 불닭볶음면이 글로벌 시장에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2020년대 들어서다.
우지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주장에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라면 한 봉지에 함유된 지방 함량은 16g(삼양라면 기준)으로 일일 섭취 권장량의 30% 정도다. 우지가 몸에 좋지 않은 포화지방산이 높다는 지적 역시 돼지고기나 오리고기 등 다른 육류에 비교한 것일 뿐 팜유에 비하면 높은 편이 아니다. 우지의 포화지방산 비율이 43% 정도인 데 비해 팜유의 경우 50%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불닭볶음면을 이을 새로운 히트 제품이 필요했던 삼양식품이 화제를 모을 수 있는 데다 '프리미엄급'으로 내놓을 수 있는 우지 라면을 선택한 것 같다"며 "기존 라면과 확실히 차별화된 맛을 구현했는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