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킹맘’ 비율이 통계 작성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13~17세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처음으로 70%를 넘으며 10명 중 7명이 자녀 교육비를 위해 취업 전선에 나선으로 나타났다.
20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4.3%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대치며 2020년 55.5% 이후 6년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연령대별 워킹맘의 비율은 ▲45~49세 67.9% ▲50~54세 66.5% ▲35~39세 64.7% ▲40~44세 64.5% ▲30~34세 57.8% 순으로 높았다.

자녀수별로는 자녀 1명과 2명은 64.6%이며 자녀 3명 이상(60.6%)로 나타났다. 순이었다. 자녀수와 무관하게 일자리에 뛰어든 대목이다.
특히 13~17세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70.4%로 지난해 대비 1.2%포인트 상승해 처음으로 70%를 넘어섰다.
7~12세 자녀가 있는 경우 66.1%,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우 57.7%로 자녀 연령과 관계없이 모든 연령대에서 고용률이 전년 대비 1.2~2.1%포인트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47만5000명(17.8%), 교육서비스업 41만7000명(15.6%), 도매 및 소매업 33만4000명(12.5%) 순으로 고용자가 많았다.
경력단절여성은 110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11만명 감소했다. 경력단절 비율은 14.9%2014년 관련 조사 이후 역대 최저치다. 직장을 그만둔 사유는 육아 44.3%, 결혼 24.2%, 임신·출산 22.1%, 가족돌봄 5.1%, 자녀교육 4.3% 순이다.
송준행 국가데이터처 고용통계과장은 “여성이 주로 종사하는 산업에서 일자리가 늘고 있어 기혼여성 고용률이 전 연령대에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